바닥 세척작업, 박리작업, 광택작업, 복원작업
사무실, 백화점, 병원, 슈퍼마켓, 호텔 등 사람들의 동행이 번잡한 곳의 바닥재 특성과 문제접을 고려하여 숙련된 전문인들의 체계적인 관리로 바닥재 관리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세척작업
바닥의 마감제 디럭스, 데코타일등에 왁스가 도포되어 있지 않을시에 사용하는 방법이며 박리작업보다는 작업공정이 적다.
1) 마루광택기에 패드를 부착한다. (바닥의 오염도에 따라 패드를 선택하여 부착)
2) 바닥 마감제의 재질, 상태 등을 확인 한 후 알카리세제 및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3) 바닥의 오염물은 습식청소기를 사용하여 흡입한다.
4) 바닥에 제거되지 않은 세제가 있을시에는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세정작업을 실시한다.
- 이때 패드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달리하여야 하지만 될수 있으면 흑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세척작업
흡입작업
왁스작업
광택작업
박리작업
바닥의 마감제에 왁스가 도포되어 있을시에 실시하는 작업이다. 박리작업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 작업에 신중을 기해야 하지만 대부분이 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잘못된 작업방법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1) 박리제도포 : 왁스층의 두께와 장소에 따라 박리제를 선택하여 바닥에 도포한다.
- 도포시에는 바닥에 골고루 도포하여야 하며 바닥이 미끄러우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2) 박리제 도포 후 약 5~20분 경과 후 패드를 사용하여 박리작업을 실시한다.
- 박리작업시에는 디럭스, 데코타일 등은 바닥의 요철을 확인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 제거되지 않을시에는 왁스 코팅 후 얼룩이 남게 된다.
3) 왁스박리작업이 마무리되면 습식청소기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흡입한다.
-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 후 왁스가 완전히 박리되지 않을시에는 다시 재작업을 실시한다.
- 실시 후 세제가 바닥에 남아 있을 경우는 다시 한번 더 바닥을 린스하여야 한다.
4) 린스 작업이 완전히 마무리 되었을 경우에는 습식청소기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흡입하고 바닥을 건조시킨다.
5) 바닥 건조후 코팅제를 선택하여 바닥에 도포한다.
- 박리 작업 후 바닥코팅작업은 바닥용도에 따라 코팅횟수를 달리하는 것이 좋다.
광택작업
왁스를 도포하다보면 바닥에 골고루 도포가 되지 않거나 왁스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부 왁스층을 깍아내면서 바닥의 강도를 높이고 박리작업의 주기를 연장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방법이다.
고속광택기에 광택패드를 부착하여 바닥의 왁스층이 두꺼운 부분을 골고루 깎아 내며 한곳에 너무 많이 작업하여서는 안되며 필히 먼지흡입기가 부탁된 광택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복원작업
찌든 이물질로 인한 오염의 정도가 심할 경우 타일의 일부를 깎아내어 바닥의 마감재를 재생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
저희 회사에서 독창적으로 개발하여 실시하는 작업이며 아직까지시중에 많이 알려 있지 않은 작업이다. 자세한 작업방법은 설명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